맨위로가기

스가노노 마미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가노노 마미치는 778년 관직에 진출하여 간무 천황과 헤이제이 천황, 사가 천황 치세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관료이다. 그는 동궁학사, 좌대변, 좌위사독 등 문무 요직을 두루 역임하며 율령 정치에 기여했고, 《쇼쿠니혼기》 편찬에 참여했다. 805년 참의가 되어 공경의 반열에 올랐으며, 807년에는 산인도 관찰사, 809년에는 도카이도 관찰사를 역임했다. 814년에 사망했으며, 최종 관위는 종3위 히타치국사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14년 사망 - 크룸
    크룸은 800년경 불가리아의 군주로, 아바르족을 격파하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불가리아 최초의 성문법전을 제정하여 강력한 통치를 펼쳤다.
  • 814년 사망 - 백장회해
    백장회해는 당나라 시대 마조도일의 제자로, 선 수행의 새로운 형태를 제시하고 최초의 독립적인 선 사찰을 발전시켰으며, 노동과 농사를 수행 생활에 포함시키고 《백장청규》를 제정하여 선종 발전에 기여한 선승이다.
  • 헤이안 시대 사람 - 고토바 천황
    고토바 천황은 삼종신기 없이 즉위한 최초의 일본 천황으로, 상황으로서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지만 조큐의 난 실패 후 유배되었으며, 뛰어난 와카 시인이자 예술가로서 일본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헤이안 시대 사람 - 고시라카와 천황
    고시라카와 천황은 토바 천황의 아들로 예상 외로 황위에 올라 다섯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상황으로서 인세이를 펼치며 호겐의 난과 헤이지의 난, 겐페이 전쟁 등 격동의 시대를 관통한 인물이다.
스가노노 마미치
기본 정보
이름스가노노 마미치
본명쓰노 마미치
한자 표기菅野真道
다른 이름津真道
출생741년
사망814년 7월 23일
아버지津山守
부인하타노 미노마루의 딸
자녀다카요
나가미네
가즈시로
후지와라노 야마히토의 부인
관직
관위종3위
직책참의
생애 및 경력
시대나라 시대 - 헤이안 시대 초기
섬긴 군주고닌 천황
간무 천황
헤이제이 천황
사가 천황
씨족쓰 연 → 스가노아손
이미지
스가노노 마미치
기쿠치 요사이의 삽화, 『전현고실』에서

2. 생애

스가노노 마미치는 고닌 천황 말기인 778년에 중무성에서 少内記|쇼나이키일본어로 임명되었고, 783년에는 外|가이일본어 従五位下|주 고이 노 게일본어 관위를 받았다. 이 기간 동안 황실 경호대와 지방 행정관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1] 785년, 훗날 헤이제이 천황이 되는 아테 친왕이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東宮学士|도구각시일본어로 임명되어 유교 경전을 가르치는 황태자 보좌관이 되었다.[1] 790년, 가문의 지위를 무라지에서 아손으로 높여줄 것을 요청하여 거주지를 기반으로 스가노노 아손(菅野朝臣)이라는 새로운 성을 받았다.[1]

간무 천황의 신임으로 황실 경호대와 태정관에서 중요 직책을 맡았고, 헤이안쿄 수도 건설에 조감독으로 깊이 관여했다. 그의 조정 관위는 꾸준히 상승했다.

후지와라노 쓰기나와, 아키시노노 야스히토와 함께 쇼쿠니혼기 편찬 및 편집 작업을 수행하여 797년에 40권을 완성했다.[1] 805년, 산기로 승진하여 구교 반열에 올랐다. 같은 해 후지와라노 오쓰구와 徳政論争|도쿠세이론소일본어를 벌였는데, 오쓰구는 북쪽 에미시에 대한 원정과 수도 건설이 백성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므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미치는 이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천황은 오쓰구의 주장에 설득당해 계획은 중단되었다.[1]

806년 헤이제이 천황 즉위 후 正四位上|쇼 시이 노 조일본어로 승진했다. 807년 観察使|간사쓰시일본어 경찰이 설립되어 산인도 지역을 관할했다. 809년 従三位|주 산미일본어로 승진하여 도카이도를 관할했다. 811년 사가 천황 치세에 70세로 ''산기'' 직에서 은퇴했다. 814년 7월 23일 74세로 사망했으며, 관위는 従三位|주 산미일본어였고 히타치국 국(国)을 지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스가노노 마미치는 778년 중무성에서 少内記|쇼나이키일본어로 임명되었다.[8] 783년에는 外|가이일본어 従五位下|주 고이 노 게일본어 관위를 받았다.[8] 그는 황실 경호대와 지방 행정관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785년, 훗날 헤이제이 천황이 되는 아테 친왕이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従五位下|주 고이 노 게일본어로 승진, 東宮学士|도구각시일본어에 임명되어 유교 경전을 가르치는 황태자 보좌관이 되었다.[1] 790년, 가문의 지위를 ''무라지''에서 ''아손''으로 높여줄 것을 요청, 거주지를 기반으로 스가노노 아손(菅野朝臣)이라는 새로운 성을 받았다.[1]

간무 천황의 신임으로 황실 경호대와 태정관에서 중요 직책을 맡았다. 헤이안쿄의 수도 건설에 조감독으로 깊이 관여했고, 조정 관위는 789년 従五位上|주 고이 노 조일본어[1], 791년 正五位下|쇼 고이 노 게일본어[1], 794년 従四位下|주 시이 노 게일본어[1], 797년 正四位下|쇼 시이 노 게일본어[1]로 꾸준히 상승했다.

마미치의 초기 관직 진출 연표는 다음과 같다.

연도관직 및 사건
778년중무성 少内記|쇼나이키일본어 임명[8]
780년오미 소목[8]
782년우위사소위[8]
783년外|가이일본어 従五位下|주 고이 노 게일본어[8], 오미대윤, 좌위사소위[8]
784년우위사대위, 오미대윤, 좌병위좌
785년従五位下|주 고이 노 게일본어, 동궁학사 겸임
788년이요개, 도서조 겸임
789년従五位上|주 고이 노 조일본어, 도서두 겸임
790년이요수 겸임, 츠노에서 스가노 아손으로 개성[1]
791년치부소보, 동궁학사, 좌병위좌, 이요수 겸임, 正五位下|쇼 고이 노 게일본어
792년치부대보,[8] 민부대보 겸임[8]
794년정5위상,[8] 종4위하[8]
795년좌병위독
796년조궁료 겸임[8]
797년이요수 겸임,[8] 정4위하, 좌대변, 동궁학사, 좌병위독, 이세수 겸임, 감해유장관[8]
798년좌위사독[8]
801년사가미수 겸임[8]
803년단바수 겸임[8]
805년참의, 좌대변, 동궁학사 겸임


2. 2. 간무 천황 시대의 활동

785년, 훗날 헤이제이 천황이 되는 아테 친왕이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마미치는 従五位下|ju go-i no ge일본어로 승진했고, 東宮学士|tōgū-gakushi일본어로 임명되어 유교 경전을 가르치는 황태자 보좌관이 되었다.[1] 간무 천황의 신임 덕분에 마미치는 황실 경호대와 태정관에서 점점 더 중요한 직책을 맡을 수 있었다. 그는 또한 헤이안쿄의 새로운 수도 건설에 조감독으로 깊이 관여했다. 같은 기간 동안 그의 조정 관위는 789년에 従五位上|ju go-i no jō일본어, 791년에 正五位下|shō go-i no ge일본어, 794년에 従四位下|ju shi-i no ge일본어, 797년에 正四位下|shō shi-i no ge일본어로 꾸준히 상승했다.

후지와라노 쓰기나와, 아키시노노 야스히토와 함께 마미치는 쇼쿠니혼기의 편찬 및 편집 작업을 수행하여 797년에 40권의 책을 완성했다. 805년, 그는 산기로 승진하여 구교의 반열에 올랐다. 그해 말, 그는 후지와라노 오쓰구와 徳政論争|tokusei-ronsō일본어을 벌였는데, 오쓰구는 북쪽의 에미시에 대한 계획된 원정과 수도 건설이 백성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고 있으며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미치는 이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천황은 오쓰구의 주장에 설득당했고, 계획은 중단되었다.

다음은 간무 천황 시대의 스가노노 마미치의 관직 이력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관직 및 주요 활동
785년황태자 아테 친왕(훗날 헤이제이 천황)의 東宮学士|tōgū-gakushi일본어 (유교 경전 교육 담당)
789년従五位上|ju go-i no jō일본어
790년스가노노 아손(菅野朝臣)으로 성을 하사받음[7]
791년正五位下|shō go-i no ge일본어
794년従四位下|ju shi-i no ge일본어
797년正四位下|shō shi-i no ge일본어, 쇼쿠니혼기 완성 (총 40권)
805년산기로 승진, 구교 반열에 오름, 후지와라노 오쓰구와 徳政論争|tokusei-ronsō일본어


2. 3. 헤이제이, 사가 천황 시대의 활동

스가노노 마미치는 778년 중무성에서 소내기로 임명되었고, 783년에는 외종5위하 관위를 받았다. 이 기간 동안 황실 경호대와 지방 행정관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1] 785년, 훗날 헤이제이 천황이 되는 아테 친왕이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동궁학사로 임명되어 유교 경전을 가르치는 황태자 보좌관이 되었다.[1] 790년, 마미치는 자신의 가문의 지위를 무라지에서 아손으로 높여줄 것을 요청하여 거주지를 기반으로 스가노노 아손(菅野朝臣)이라는 새로운 성을 받았다.[1]

간무 천황의 신임 덕분에 마미치는 황실 경호대와 태정관에서 점점 더 중요한 직책을 맡았고, 헤이안쿄의 새로운 수도 건설에 조감독으로 깊이 관여했다.[1] 같은 기간 동안 그의 조정 관위는 789년에 종5위상, 791년에 정5위하, 794년에 종4위하, 797년에 정4위하로 꾸준히 상승했다.

후지와라노 쓰기나와, 아키시노노 야스히토와 함께 마미치는 쇼쿠니혼기 편찬 및 편집 작업을 수행하여 797년에 40권을 완성했다.[1] 805년, 산기로 승진하여 구교 반열에 올랐다.[1] 그해 말, 후지와라노 오쓰구와 도쿠세이 논쟁을 벌였는데, 오쓰구는 북쪽의 에미시에 대한 계획된 원정과 수도 건설이 백성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고 있으며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 마미치는 이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천황은 오쓰구의 주장에 설득당했고, 계획은 중단되었다.[1]

806년 헤이제이 천황 즉위 후 마미치는 정4위상으로 승진했다.[1] 807년, 관찰사 경찰이 설립되었고, 마미치는 산인도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1] 809년, 종3위로 승진하여 도카이도를 관할하게 되었다.[1] 811년, 사가 천황 치세 동안 마미치는 70세가 되어 ''산기'' 직에서 은퇴했다.[1] 814년 7월 23일 74세 나이로 사망했으며, 관위는 종3위였고 히타치국 국(国)을 지냈다.

다음은 그의 관직 이력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관직
778년소내기[8]
780년오미 소목[8]
782년우위사소위[8]
783년종5위하[8], 오미대윤, 좌위사소위[8]
784년우위사대위, 오미대윤, 좌병위좌
785년종5위하, 겸 동궁학사
788년겸 이요개, 겸 도서조
789년종5위상, 겸 도서두
790년겸 이요수, 스가노 아손으로 개성
791년겸 치부소보, 동궁학사, 좌병위좌, 이요수, 정5위하
792년겸 치부대보[8], 겸 민부대보[8]
794년정5위상[8], 종4위하[8]
795년좌병위독
796년겸 조궁료[8]
797년겸 이요수[8], 정4위하, 좌대변, 동궁학사, 좌병위독, 이세수, 감해유장관[8]
798년좌위사독[8]
801년겸 사가미수[8]
803년겸 단바수[8]
805년참의, 좌대변, 동궁학사
806년대재대이, 정4위상[8]
807년산인도관찰사[8], 겸 형부경[8], 겸 민부경[8]
808년겸 좌대변, 겸 대장경
809년종3위, 도카이도 관찰사[8], 겸 궁내경[8], 겸 대장경[8]
810년겸 오미수[8], 참의[8], 겸 히타치수, 궁내경[8]
811년참의 치사
814년훙거 (히타치수 종3위)


3. 가계

신선성씨록에 따르면, 마미치는 백제의 14대 왕인 근구수왕의 후손이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쓰노 야마모리|쓰노 야마모리일본어[2][8]
어머니미상
아내하타 미노마루의 딸[9]
아들스가노노 타카요|스가노노 타카요일본어[3][9]고금와카집에 작품 1수 수록
아들스가노노 나가미네|스가노노 나가미네일본어[3][10]
스가노노 히토카즈|스가노노 히토카즈일본어 (?–863)[4][11]
후지와라노 야마히토의 아내


참조

[1] 서적 Shoku Nihongi
[2] 서적 Kugyō Bunin
[3] 서적 Shoku Nihon Kōki
[4] 서적 Nihon Sandai Jitsuroku
[5] 문서 読みは、つのむらじ
[6] 서적 『新撰姓氏録』における姓意識と渡来系氏族 京都女子大学史学研究室 2001-02
[7] 서적 続日本紀
[8] 서적 公卿補任
[9] 서적 『古今和歌集目録』
[10] 서적 続日本後紀
[11] 서적 日本三代実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